본문 바로가기

고등학교 3년, 심화 수능 대비 이렇게 설계하라 – 상위권을 위한 과목 로드맵 전략

리듬잉글리시 2025. 4. 12.

2028 수능은 심화형 수능이 도입되며, 이공계·의대 진학 학생은 고난도 출제에 대비해야 합니다. 고등학교 3년 동안 어떤 과목을 선택하고, 어떤 순서로 수강해야 할지 구체적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진짜 승부는 '1학년 때 어떤 과목을 택하느냐'에서 갈립니다.

심화수능
심화수능

❗ “심화 수능이 뭔가요?”부터 정확히 이해하자

2028학년도부터 수능은 두 가지 버전으로 나뉩니다.

  • 기초형 수능: 기본 개념 위주, 공통 과목 중심
  • 심화형 수능: 고난도 수학·과학 중심, 이공계/의대 타깃

의대, SKY 자연계열, KAIST, POSTECH 등
상위권 전공을 목표로 한다면 무조건 심화형 수능을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니까, 이건 선택이 아니라 **‘운명 결정’**입니다.


🧭 고1~고3까지의 전략: 과목 선택, 이렇게 설계하라

고교학점제가 도입되며 과목 선택의 자유도는 늘었지만,
반대로 말하면 선택이 곧 전략이 됐습니다.
잘못 설계하면, 3년 뒤 수능장에서 문제조차 제대로 못 푸는 상황이 될 수 있습니다.


📘 고1: 기초 체력 다지기 + 수학 상·하 완벽히 잡기

  • 국어, 수학, 영어 등 공통과목을 기반으로
  • 수학은 반드시 상·하 기본기 완벽히 다질 것
  • 과학은 통합과학 + 과학탐구실험 중심
  • 국영수 내신 관리는 필수 (학생부 경쟁력 확보용)

⚠️ 수학 상·하는 심화 수능의 기본 발판입니다.
중간에 허점 생기면 고3에서 ‘미적분’ 못 따라갑니다.


📘 고2: 본격 심화과목 진입 + 진로 과목 선택

  • 수학: 미적분 / 확률과 통계 / 기하 중에서 선택
    → 심화 수능 목표라면 미적분 + 기하 추천
  • 과학: 생명과학I, 화학I, 물리I, 지구과학I 중 2과목 선택
    → 이때 선택한 과목이 수능 과목으로 이어질 가능성 높음
  • 진로 과목 탐색: 융합과학, 수학과제탐구, 생명과학실험 등
  • 생활기록부에는 진로와 연결된 활동 & 수행평가 중심 기록

📝 Tip: 2학년 때 선택한 과목은 3학년 수능 과목과 직결됩니다.
대학 전공과 관련된 과목 우선적으로 배치하세요.


📘 고3: 수능 직결 과목 확정 + 심화 학습

  • 수능 과목 확정: 2학년 때 들었던 과목 중 심화 수능 반영과목 선택
    → 예: 미적분 + 화학I → 심화형 수능 대비 최적 조합
  • 수능 + 내신 + 논술 병행 전략 필요
  • 수학 과목은 EBS 교재 중심으로 문제풀이 전략 병행
  • 실험·탐구 과목에 대해선 면접·자기소개서 자료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

⚠️ 고3엔 ‘선택’보다 ‘완성’에 집중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설계해온 학습 과목을 모두 연결시켜야 진짜 성과가 납니다.


🔍 실제 케이스 예시

케이스 1: 의대 목표 학생 (자연계 최상위권)

학년 수학 과학 진로 과목
고1 수학 상/하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고2 미적분, 기하 화학I, 생명과학I 의학과 윤리
고3 미적분 화학I 자기주도 과제연구

→ 자기소개서에 생명과학 실험 보고서 + 화학 과제탐구 자료 활용
→ 면접 시 실제 과목에서 수행한 실험 기반 질문 대비 가능


케이스 2: 공학계열 목표 학생 (KAIST 등)

학년 수학 과학 진로 과목
고1 수학 상/하 통합과학 기술가정
고2 미적분, 확통 물리I, 지구과학I 로봇공학개론
고3 미적분 물리I 과학과제연구, 알고리즘입문

→ 생활기록부에 프로그래밍 실습 + 알고리즘 탐색 내용 기록
→ 면접 시 논리적 사고 기반 과목 이수 경험이 차별화 요소


📌 마무리 조언

  • 심화형 수능을 목표로 한다면, 고1 때부터 ‘수능 반영과목’에 해당하는 과목들을 순차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 과목 선택은 ‘좋아하는 것’이 아니라, ‘대학이 묻는 질문에 답할 수 있는 과목’을 고르는 것이어야 합니다.
  • 결국, 전략은 수능과 학생부를 연결하는 브릿지를 어떻게 설계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댓글